ssh, scp 를 리눅스에서 사용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프로그램이 멈춘다. 자동화 시스템에서 이러한 점은 큰 문제점이다. 이러한 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키 기반 인증을 사용할 수 있다. 미리 ssh 인증을 서버간에 해두면, 그 인증파일을 사용하여 비밀번호 없이 ssh나 scp 를 사용할 수 있다. 방식은 scp를 사용할 서버에서 키를 아래와 같이 생성한다.ssh-keygen -t rsa 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 : 인증 파일을 어디에 만들지 설정(엔터시 계정 아이디/.ssh 에 파일들이 생성)Enter passphrase : 비밀번호를 입력 안하려 하니 엔터Enter same passphrase again : 비밀번호 확인 그냥 엔터 생성 되는 파일은 ID..
C shell에서는 파일의 존재 유무나 특성을 Check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능과 if 구문을 조합하여 다양한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사용 방법if ( -operator filename ) ... 각 Operator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r : read access (읽을 수 있는가?)w : write access (쓸 수 있는가?)x : execute access (실행할 수 있는가?)e : existence (파일이 있는가?)o : ownership (파일의 소유주인가?)z : zero length (파일의 길이가 0인가?)f : plain file (보통 파일인가?)d : directory (디렉토리 파일인가?) 논리 부정을 사용할 떄는 연산자 !를 앞의 oper..
오늘은 매트랩 함수 중 sprintf를 알아보겠다. 문장결합이라고 제목을 붙였다. 이유는 여러 문자 배열을 합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제 : string1 = 'hello';string2 = 'world'; string = sprintf('%s %s', string1, string2); fprintf('%s', string); 예제 결과 : hello world 이런 식으로 하면 string 변수에는 hello world 가 들어있을 것이다.이런 식으로 여러 문자배열을 합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루트를 쓰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36을 루트에 씌우면 6 이라는 사실은 다들 아실겁니다. 1. 가장 기본인 2제곱근 루트를 쓰는 방법입니다. ==> sqrt data = 36;result = sqrt(data); result 에는 6 이라는 숫자가 들어갈 것입니다. 2. 특정 숫자의 제곱근 루트를 쓰는 방법입니다. ==> nthroot data = 27;result = nthroot(data, 3); 이런 식으로 숫자를 넣으면 27에 3의 제곱근인 3이 result 에 들어갈 것입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뇌를 자극하는 C프로그래밍
- 애플
- terascan
- 왕초보 영단어1
- 연습문제
- 포인터
- 프로그램
- 프로그래밍
- 배열
- 테라스캔
- IOS
- 단어
- 영어
- 리눅스
- exercise
- Swift
- 데이터베이스
- database
- 함수
- Apple
- 매트랩
- 시원스쿨
- Xcode
- 형용사
- MySQL
- 스위프트
- Matlab
- 뇌를 자극하는 C 프로그래밍
- 반복문
- C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