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소개드린 구조체 안에 내용 중에 프로퍼티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프로퍼티는 저장 프로퍼티, 연산 프로퍼티, 타입 프로퍼티로 나뉘어집니다. 첫번째로 저장 프로퍼티는 가변 프로퍼티와 불변 프로퍼티로 나뉩니다. 구조체는 기본적으로 모든 저장 프로퍼티를 포함하는 이니셜라이저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위에 Cat 구조체에서 그것을 사용해보았습니다. 저장 프로퍼티는 기본값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기본값이 있는 경우 이니셜라이저 없이 인스턴스 생성이 가능합니다. struct Coordinate { var x: Int = 0 var y: Int = 0 } let point: Coordinate = Coordinate() 만약 저장 프로퍼티가 옵셔널이면 해당 프로퍼티는 초기값을 넣어주지 않아도 됩니다. 지연 ..
오늘은 스위프트의 구조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struct 이름 { 프로퍼티 메서드 } 위와 같은 형태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고양이 구조체는 아래와 같이 선언할 수 있습니다. struct Cat { let name: String var age: Int } 구조체는 자동으로 생성된 이니셜라이저를 통해 생성할 수 있습니다. var yaong: Cat = Cat(name: "yaong", age: 5) 또는 아래와 같이 직접 이니셜라이저 메서드를 선언해줄 수 있습니다. init (nameEntred: String) { name = nameEntred age = 1 } 직접 이니셜라이저 메서드를 선언해주면 기본으로 생성된 이니셜라이저는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위에서 인스턴스를 만들어주는 소스는 ..
- Total
- Today
- Yesterday
- MySQL
- 반복문
- 프로그래밍
- 프로그램
- exercise
- 포인터
- Apple
- 뇌를 자극하는 C프로그래밍
- 함수
- 데이터베이스
- 애플
- 매트랩
- 뇌를 자극하는 C 프로그래밍
- 형용사
- database
- 스위프트
- C
- 테라스캔
- Swift
- 배열
- 시원스쿨
- Xcode
- terascan
- 영어
- 왕초보 영단어1
- 연습문제
- IOS
- 단어
- Matlab
- 리눅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